-
[Programmers] K번째수[+] 알고리즘 [+] 2020. 5. 28. 00:35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풀이 과정]
어려울 것이 전혀 없는 문제다.
그저 리스트를 슬라이싱하고 K번째 숫자를 채워서 리턴하면 된다!
파이썬이라서 그런지 슬라이싱이나 배열생성 이런 것 들이 참으로 편하고 좋다!
파이썬 만세다 만세!!
한줄 컷 만세!!
def solution(array, commands): return [(sorted(array[i-1:j])[k-1]) for i,j,k in commands]
필자는 항상 깃허브에 금일 푼 알고리즘 코드를 올려놓곤 하는데
지난 풀이보다 점점 늘어가는게 보인다...
참 마음이 짠하다.... 크흡....
https://github.com/newfull5/Programmers/blob/master/K%EB%B2%88%EC%A7%B8%EC%88%98.py
newfull5/Programmers
Contribute to newfull5/Programmer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def solution(array, commands): answer = [] arr = [] for t in range(0, len(commands)): i = commands[t][0] j = commands[t][1] k = commands[t][2] arr = array[i-1:j] arr.sort() answer.append(arr[k-1]) return answer ''' ''' #2020.04.04 def solution(array, commands): answer = [] for arr in commands: answer.append(sorted(array[arr[0]-1:arr[1]])[arr[2]-1]) return answer ''' #2020.05.28 #뭔가 짠하다... 내가 점점 달라졌구나 싶다. def solution(array, commands): return [(sorted(array[i-1:j])[k-1]) for i,j,k in commands]
'[+] 알고리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네트워크 (0) 2020.07.13 [Programmers] 후보키 (0) 2020.05.28 [Programmers] 체육복 (0) 2020.05.28 [Programmers] [3차] n진수 게임 (0) 2020.05.27 [Programmers] [3차] 파일명 정렬 (0) 2020.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