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rogrammers]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 알고리즘 [+] 2020. 4. 10. 16:20

     

     

     

     

    [문제 설명]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board 배열은 2차원 배열로 크기는 5 x 5 이상 30 x 30 이하입니다.
    •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풀이 과정]

     

     

    카카오 코딩테스트 문제는 언제나 풀이가 길다.

     

    물어보는 바는 명확하고 구현방향도 곧바로 떠오르지만 난이도에 비해 좀 까다로운 구석이 있다.

     

    파이썬이 아니라면 실제 상황에서 제대로 구현할 수 있을까 싶은데

     

    이 문제는 인턴쉽 문제라 그런지 생각보다 힘이 들이 않았다.

     

    여튼! 문제는 간단하다.

     

    이차원 배열을 탐색하여 요소값을 가져오고 스택 구조로 pop 해나가면 쉽게 답을 구할 수 있다.

     

    def solution(board, moves):
        stack = []
        answer = 0
        
        for i in moves:
            for arr in board:
                if arr[i-1] != 0:
                    print(arr[i-1])
                    stack.append(str(arr[i-1])[:])
                    arr[i-1] = 0
    
                    if len(stack) > 1:
                        if stack[-1] == stack[-2]:
                            stack.pop()
                            stack.pop()
                            answer += 2
                    break
                    
        return answer

     

    팁 이라고 하기엔 민망하지만.

     

    필자는 파이썬을 처음 접했을때

     

    변수A에 변수B를 대입했을때 A변수가 바뀌면 B변수의 값도 같이 변한다는 사실을 몰라 골머리를 앓았던 적이 있다.

     

    A = 1

    B = A

    A = 2

    => A == 2  B == 2

     

    (A변수와 B변수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값이 같아 변수 값의 변화가 다른 변수에 영향을 끼친다)

     

    하여, 변수를 문자열로 바꾸고 [:]를 붙이면 다른 메모리 값을 할당 받을 수 있다.

     

     

     

    '[+] 알고리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단어 변환  (0) 2020.04.14
    [Programmers] 튜플  (0) 2020.04.10
    [Programmers] 기능개발  (0) 2020.04.05
    [Programmers] 탑  (0) 2020.04.04
    [Programmers] 위장  (0) 2020.04.0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