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 인터넷은 기능적으로 분리된 각 계층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 겹겹이 쌓여서 이루어진다
HTTP
- 인터넷 상에서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간에 문서를 교환하기 위함
- Request -> Response 구조
- URL과 관련 정보를 이용
- TCP 사용
DNS
- 도메인 이름을 대응되는 IP 주소로 변환 혹으 그 반대 수행
- DNS 클라이언트는 local DNS server에게 요청
- Local DNS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고 자신의 메모리에 저장
- 캐쉬에서 찾아보고 -> local 컴퓨터의 host 파일에서 찾고 -> local DNS 서버에게 질의
TCP
- 연결 지향 서비스 -> 신뢰성있는 전송 서비스 제공
- 데이터 송신 전에 별도의 연결을 수립
- 실시간 응용에 부적합
- Sequence number 부여
- window size 전숑률 조정
- flow control
- 혼잡제어
UDP
- 신뢰성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전송속도를 중시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
- 헤더 작음
- 흐름제어 없음, 혼잡제어 없음
- DNS, IPTV(영상), VoIP(음성), 온라인 게임
IP
- 라우터를 거쳐 패킷을 전달하는 목적
- 비연결성 -> 패킷이 제대로 갔는지 보장되지 않음
- 라우터는 패킷이 명시하고 있는 목적지에 도착하는 방법을 자신이 알고있는지를 라우팅 테이블을 보고 판단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에서 패킷 전달시 발생하는 오류를 보고하거나 상태를 진단